본문 바로가기

설 차례상 '홍동백서', '조율이시' 유래와 의미

jungboSS 2024. 2. 1.

홍동백서

'홍동백서'는 붉은색 음식은 동쪽, 흰색 음식은 서쪽에 놓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동쪽을 양의 방위로, 서쪽을 음의 방위로 여겨서, 양의 기운을 상징하는 붉은색 음식은 동쪽에, 음의 기운을 상징하는 흰색 음식은 서쪽에 놓는 것입니다.

 

'홍동백서'의 유래는 중국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중국의 고대 경전인 『주역』에는 "동쪽은 양의 기운이 강하고, 서쪽은 음의 기운이 강하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 구절을 바탕으로, 중국에서는 동쪽을 상징하는 붉은색을 길조로 여겼고, 서쪽을 상징하는 흰색을 악조로 여겼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시대부터 '홍동백서'의 관습이 전해져 내려왔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주자가례』에 '홍동백서'의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자가례』에는 "과일은 붉은색은 동쪽에,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대에도 설 차례상에서는 '홍동백서'의 관습이 일반적으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설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의 경우, 대추, 밤, 배, 감, 사과, 귤, 망고, 멜론 등이 일반적입니다. 이 중에서 대추, 밤, 배는 붉은색을 띠는 과일로, 동쪽에 놓고, 감, 사과, 귤, 망고, 멜론은 흰색을 띠는 과일로, 서쪽에 놓습니다.

 

 

조율이시

'조율이시'는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과일을 놓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대추는 자손의 번창, 밤은 부부의 화합, 배는 풍요의 상징, 감은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조율이시'의 유래는 중국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중국의 고대 서적인 『시경』에는 "대추는 자손의 번창을, 밤은 부부의 화합을, 배는 풍요를, 감은 장수를 상징한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 구절을 바탕으로, 중국에서는 '조율이시'의 관습이 전해져 내려왔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시대부터 '조율이시'의 관습이 전해져 내려왔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주자가례』에 '조율이시'의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자가례』에는 "과일은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대에도 설 차례상에서는 '조율이시'의 관습이 일반적으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설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의 경우, 대추, 밤, 배, 감, 사과, 귤, 망고, 멜론 등이 일반적입니다. 이 중에서 대추, 밤, 배, 감은 '조율이시'의 순서에 따라 놓습니다.

 

 

설 차례상의 의미

설 차례상은 조상에게 한 해의 덕을 올리고, 새해의 시작을 축하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차례상에는 조상들이 좋아했던 음식과 먹거리를 올리며, 조상들의 은덕을 기리고, 새해의 풍요와 번영을 기원합니다.

 

'홍동백서'와 '조율이시'는 설 차례상의 기본적인 규칙으로, 이를 지키는 것은 조상들에 대한 예를 갖추는 의미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러한 규칙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시대가 변하면서, 차례상은 그 의미와 형식이 점차 간소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